욥기 13장
13장
1 나의 눈이 이것을 다 보았고 나의 귀가 이것을 듣고 깨달았느니라
2 너희 아는 것을 나도 아노니 너희만 못하지 않으니라
3 참으로 나는 전능자에게 말씀하려 하며 하나님과 변론하려 하노라
4 너희는 거짓말을 지어내는 자요 다 쓸모 없는 의원이니라
5 너희가 참으로 잠잠하면 그것이 너희의 지혜일 것이니라 (친구들이 자신들의 문제는 보지 않고 욥을 비방하였듯이 욥도 자신의 티는 보지 않고 친구의 태도만을 꾸짖고 있다. 많은 신앙인들이 자기의 문제는 가만히 둔 채 상대의 잘못만을 지적하는 것과 같은 태도다.)
6 너희는 나의 변론을 들으며 내 입술의 변명을 들어 보라
7 너희가 하나님을 위하여 불의를 말하려느냐 그를 위하여 속임을 말하려느냐
8 너희가 하나님의 낯을 따르려느냐 그를 위하여 변론하려느냐
9 하나님이 너희를 감찰하시면 좋겠느냐 너희가 사람을 속임 같이 그를 속이려느냐
10 만일 너희가 몰래 낯을 따를진대 그가 반드시 책망하시리니
11 그의 존귀가 너희를 두렵게 하지 않겠으며 그의 두려움이 너희 위에 임하지 않겠느냐
12 너희의 격언은 재 같은 속담이요 너희가 방어하는 것은 토성이니라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를 기준으로 볼 때 서로 논쟁하고 다투는 것은 성령이 함께 하지 않는 것이다. 즉 믿음의 깊은 단계에 있지 않다. 믿음이 성숙할수록 더 깊어지고 더 낮아진다. 상대가 무슨 말을 하더라도 수용적인 태도가 되고 오직 하나님과 대면하게 된다. 욥이 의로운 자였다 할지라도 고난 속에서 그의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13 너희는 잠잠하고 나를 버려두어 말하게 하라 무슨 일이 닥치든지 내가 당하리라 (무슨 일이든 자기가 책임지겠다고 하는 것도 인본주의 태도다. 무슨 일이든 하나님께 의탁하는 자세가 되어야 한다.)
14 내가 어찌하여 내 살을 내 이로 물고 내 생명을 내 손에 두겠느냐
15 그가 나를 죽이시리니 내가 희망이 없노라 그러나 그의 앞에서 내 행위를 아뢰리라
16 경건하지 않은 자는 그 앞에 이르지 못하나니 이것이 나의 구원이 되리라 (욥은 자신이 경건하므로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욥이 반복적으로 자기 의를 드러내는 것이 결정적인 걸림이 되고 있다.)
17 너희들은 내 말을 분명히 들으라 내가 너희 귀에 알려 줄 것이 있느니라
18 보라 내가 내 사정을 진술하였거니와 내가 정의롭다 함을 얻을 줄 아노라 (욥은 정체성이 높은 자일 수도 있다. 자신은 꼭 천국에 갈 수 있다는 정체성을 가져서 이렇게 당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정체성은 겸손에서 나와야 한다. 그러나 욥은 다른 사람들이 옳지 않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정체성이 높기보다는 교만에 가까워 보인다. 하나님의 은혜로 자신의 의롭다 함을 인정받겠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의로우므로 하나님이 구원해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19 나와 변론할 자가 누구이랴 그러면 내가 잠잠하고 기운이 끊어지리라
20 오직 내게 이 두 가지 일을 행하지 마옵소서 그리하시면 내가 주의 얼굴을 피하여 숨지 아니하오리니
21 곧 주의 손을 내게 대지 마시오며 주의 위엄으로 나를 두렵게 하지 마실 것이니이다
22 그리하시고 주는 나를 부르소서 내가 대답하리이다 혹 내가 말씀하게 하옵시고 주는 내게 대답하옵소서 (욥은 하나님과 대화하는 전제 조건 두 가지를 제시한다. 그 조건이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자세이기보다는 거의 명령에 가까운 부탁으로 들린다. 하나님을 경배하는 자세가 아니라 거만하기까지 한 자세다. 그가 겪고 있는 고통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겠으나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만 한다.)
23 나의 죄악이 얼마나 많으니이까 나의 허물과 죄를 내게 알게 하옵소서 (욥은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는 게 아니라 내가 죄가 있다면 말해보라는 태도로 말하고 있다. 자신은 죄가 무엇인지 알 수 없으니 하나님께서 가르쳐 달라는 것이다. 그 자체가 죄가 됨을 먼저 인정할 때 하나님의 은혜가 내려온다.)
24 주께서 어찌하여 얼굴을 가리시고 나를 주의 원수로 여기시나이까
25 주께서 어찌하여 날리는 낙엽을 놀라게 하시며 마른 검불을 뒤쫓으시나이까 (낙엽과 검불이 놀라는 게 아니라 바람만 불어도 자신이 놀라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 표현이다. 얼마나 마음의 상심이 크면 바람이 불고 검불이 날려도 놀라고 있는지 욥의 아픔이 이해가 된다.)
26 주께서 나를 대적하사 괴로운 일들을 기록하시며 내가 젊었을 때에 지은 죄를 내가 받게 하시오며
27 내 발을 차꼬에 채우시며 나의 모든 길을 살피사 내 발자취를 점검하시나이다 (반복되는 말이지만 이 시련은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사탄으로부터 온 것이다. 하나님은 결코 나쁜 것을 주시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들은 고난이 올 때 그 출발지가 하나님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28 나는 썩은 물건의 낡아짐 같으며 좀 먹은 의복 같으니이다 (욥은 자기 정체성을 비하하고 있다. 자신이 하나님 나라의 소중한 존재임을 포기하고 있다. 고난에 처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자기 비하를 한다. 이럴 때에 끝까지 하늘의 정체성을 갖는 태도가 중요하다. 우리가 고난을 받으면 23절처럼 모든 것을 남의 문제로 돌리고 자기는 죄가 없다고 대항한다. 이러면 성격 장애가 된다. 반대로 28절처럼 자신의 정체를 비하하고 모든 것을 자기 문제로 돌린다. 이런 경우 강박증이 된다. 그래서 분별력을 갖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