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40장
요셉이 관원장의 꿈을 해석하다
40장
1 그 후에 애굽 왕의 술 맡은 자와 떡 굽는 자가 그들의 주인 애굽 왕에게 범죄한지라
2 바로가 그 두 관원장 곧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에게 노하여
3 그들을 친위대장의 집 안에 있는 옥에 가두니 곧 요셉이 갇힌 곳이라
4 친위대장이 요셉에게 그들을 수종들게 하매 요셉이 그들을 섬겼더라 그들이 갇힌 지 여러 날이라
5 옥에 갇힌 애굽 왕의 술 맡은 자와 떡 굽는 자 두 사람이 하룻밤에 꿈을 꾸니 각기 그 내용이 다르더라
6 아침에 요셉이 들어가 보니 그들에게 근심의 빛이 있는지라
7 요셉이 그 주인의 집에 자기와 함께 갇힌 바로의 신하들에게 묻되 어찌하여 오늘 당신들의 얼굴에 근심의 빛이 있나이까
8 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가 꿈을 꾸었으나 이를 해석할 자가 없도다 요셉이 그들에게 이르되 해석은 하나님께 있지 아니하니이까 청하건대 내게 이르소서 (마치 하나님이 모든 전략을 마련한 것처럼 일이 돌아가고 있다. 그만큼 하나님이 사랑하는 자에 대한 세밀한 계획을 갖고 계신다.)
9 술 맡은 관원장이 그의 꿈을 요셉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가 꿈에 보니 내 앞에 포도나무가 있는데
10 그 나무에 세 가지가 있고 싹이 나서 꽃이 피고 포도송이가 익었고
11 내 손에 바로의 잔이 있기로 내가 포도를 따서 그 즙을 바로의 잔에 짜서 그 잔을 바로의 손에 드렸노라
12 요셉이 그에게 이르되 그 해석이 이러하니 세 가지는 사흘이라 (요셉은 꿈을 꾸는 자라는 말을 들을 만큼 어려서 꿈으로 본 것이 있다. 하나님이 주신 비전에 대해 그는 반응했고 담대히 말했다. 이로 인해 요셉의 성품에 문제가 있었으나 하나님이 그를 쓰신 것이다.)
13 지금부터 사흘 안에 바로가 당신의 머리를 들고 당신의 전직을 회복시키리니 당신이 그 전에 술 맡은 자가 되었을 때에 하던 것 같이 바로의 잔을 그의 손에 드리게 되리이다
14 당신이 잘 되시거든 나를 생각하고 내게 은혜를 베풀어서 내 사정을 바로에게 아뢰어 이 집에서 나를 건져 주소서(요셉은 상대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리고 구해주기를 요청하고 있다. 요셉은 이들에게만 아니라 하나님께도 간구하였을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통해 일하신다는 사실이다.)
15 나는 히브리 땅에서 끌려온 자요 여기서도 옥에 갇힐 일은 행하지 아니하였나이다(요셉이 이미 이들과 상당한 날을 보냈을 텐데 지금 이런 자기 상황을 말하고 있다. 어떤 말을 할 때 상황이 무르익는 게 중요하다. 요셉은 자기가 해몽할 기회가 오자 그 기회를 통해 자기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다. 만일 먼저 자신의 처지를 이야기하고 다녔으면 설득력이 없었을 수 있다. 하지만 먼저 자신이 은혜를 베푼 뒤에 자기 상황을 이야기해서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꼭 말을 해야 할 때, 자기를 정확히 표현하는 것은 좋은 지혜다.)
16 떡 굽는 관원장이 그 해석이 좋은 것을 보고 요셉에게 이르되 나도 꿈에 보니 흰 떡 세 광주리가 내 머리에 있고
17 맨 윗광주리에 바로를 위하여 만든 각종 구운 음식이 있는데 새들이 내 머리의 광주리에서 그것을 먹더라
18 요셉이 대답하여 이르되 그 해석은 이러하니 세 광주리는 사흘이라
19 지금부터 사흘 안에 바로가 당신의 머리를 들고 당신을 나무에 달리니 새들이 당신의 고기를 뜯어 먹으리이다 하더니 (요셉은 지금 관리에게 치명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관리가 들으면 매우 기분 나쁠 이야기다. 하지만 이야기를 해야 할 때 분명하게 하였으므로 요셉의 능력이 인정된 것이다. 사람의 눈치를 보느라고 판단력을 흐리면 안 된다. 정확히 판단했다면 분명한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한다. 다만 교만하거나 비난하는 어조가 되어선 안 된다.)
20 제삼일은 바로의 생일이라 바로가 그의 모든 신하를 위하여 잔치를 베풀 때에 술 맡은 관원장과 떡 굽는 관원장에게 그의 신하들 중에 머리를 들게 하니라
21 바로의 술 맡은 관원장은 전직을 회복하매 그가 잔을 바로의 손에 받들어 드렸고
22 떡 굽는 관원장은 매달리니 요셉이 그들에게 해석함과 같이 되었으나
23 술 맡은 관원장이 요셉을 기억하지 못하고 그를 잊었더라(요셉은 이렇게 2년의 세월을 보낸다. 감옥에서 2년의 세월이 얼마나 길었을까? 특히 왕자처럼 귀하게 자란 요셉의 입장에서 감옥 생활 2년은 너무나 긴 세월이었을 것이다. 요셉이 노예로 팔려온 과정에서 시련이 한 차례 있었으나 요셉은 그 시련을 통해 자기 발견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감옥에서의 2년 동안 요셉이 얼마나 많은 깨달음을 얻었을지 불보듯 빤한 일이다. 요셉이 요셉다워진 것은 바로 이 감옥의 2년이다. 그동안 왕자처럼 지낸 요셉은 여기에서 자아를 깨고 나온다. 처참하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았던 것이다. 우리에게 시련의 시간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가 가진 많은 문제를 돌이켜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시련이 길수록 자기를 발견할 기회가 많다. 기나긴 시련을 통해 하나님의 도구로 거듭나는 것이다. 요셉이 가진 것은 일종의 세대의 저주다. 야곱이 그릇되이 자녀를 얻었으므로 그의 자녀 요셉에게 집착했고 문제를 유전시킨 것이다. 그런 문제를 요셉이 깨뜨린 계기가 이때였다. 바로 이때가 요셉에게는 은혜의 기간이다. 만일 원래 그대로의 요셉이라면 너무나 단점이 많았다. 그런데 하나님이 이 기간을 통해 요셉을 성숙한 인간으로 바꾸어 축복을 주었다. 따라서 이런 시련의 기간이 은혜의 시간이며 감사의 시간이다. 요셉이 관원장에게 자기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으나 관원장이 잊어버린 것은 응답의 시간을 의미한다. 내가 원하는 그 시간에 응답하는 게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는 때에 응답을 주신다. 요셉은 즉시 변화가 있기를 바랐지만 하나님은 이년의 시간을 더 감옥에서 보내게 한다. 그 동안은 요셉은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발견하는 시간을 가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