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1 모르드개가 이 모든 일을 알고 자기의 옷을 찢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고 성중에 나가서 대성 통곡하며
2 대궐 문 앞까지 이르렀으니 굵은 베 옷을 입은 자는 대궐 문에 들어가지 못함이라
3 왕의 명령과 조서가 각 지방에 이르매 유다인이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울며 부르짖고 굵은 베 옷을 입고 재에 누운 자가 무수하더라
4 에스더의 시녀와 내시가 나아와 전하니 왕후가 매우 근심하여 입을 의복을 모르드개에게 보내어 그 굵은 베 옷을 벗기고자 하나 모르드개가 받지 아니하는지라
5 에스더가 왕의 어명으로 자기에게 가까이 있는 내시 하닥을 불러 명령하여 모르드개에게 가서 이것이 무슨 일이며 무엇 때문인가 알아보라 하매(왕은 에스더가 청한 것을 순순히 들어주고 있다. 그만큼 에스더는 왕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6 하닥이 대궐 문 앞 성 중 광장에 있는 모르드개에게 이르니
7 모르드개가 자기가 당한 모든 일과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려고 왕의 금고에 바치기로 한 은의 정확한 액수를 하닥에게 말하고
8 또 유다인을 진멸하라고 수산 궁에서 내린 조서 초본을 하닥에게 주어 에스더에게 보여 알게 하고 또 그에게 부탁하여 왕에게 나아가서 그 앞에서 자기 민족을 위하여 간절히 구하라 하니
9 하닥이 돌아와 모르드개의 말을 에스더에게 알리매
10 에스더가 하닥에게 이르되 너는 모르드개에게 전하기를
11 왕의 신하들과 왕의 각 지방 백성이 다 알거니와 남녀를 막론하고 부름을 받지 아니하고 안뜰에 들어가서 왕에게 나가면 오직 죽이는 법이요 왕이 그 자에게 금 규를 내밀어야 살 것이라 이제 내가 부름을 입어 왕에게 나가지 못한 지가 이미 삼십 일이라 하라 하니라(왕후라도 왕의 부름이 없이 왕 앞에 나가면 사형을 당하는 세상에서 에스더가 살고 있었다. 따라서 이후의 에스더의 행위는 대단한 용기를 요구한다.)
12 그가 에스더의 말을 모르드개에게 전하매
13 모르드개가 그를 시켜 에스더에게 회답하되 너는 왕궁에 있으니 모든 유다인 중에 홀로 목숨을 건지리라 생각하지 말라(혼자만의 안위를 생각하는 것은 비겁한 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자신이 편안하기 때문에 동족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자신들이 배부르기 위해 타인의 배고픔을 눈감는 것도 옳은 일이 아니다.)
14 이 때에 네가 만일 잠잠하여 말이 없으면 유다인은 다른 데로 말미암아 놓임과 구원을 얻으려니와 너와 네 아버지 집은 멸망하리라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알겠느냐 하니(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으면 당장은 다수가 죽고 에스더는 살겠으나 궁극적으로는 에스더 가족은 역사적인 죽임을 당할 것이고 하나님 앞에서도 떳떳하지 못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왕후가 된 것이 바로 이 순간을 위한 것임을 강조한다. 실제로 모르드개가 한 행위로 보아 바로 이날을 위해 에스더를 왕후에 올렸을 것이다.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단지 한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것인데 반해 국가가 하는 것은 엄청난 사람의 목숨을 살리고 죽이는 일이다. 따라서 정권의 우두머리를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정치적인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15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회답하여 이르되
16 당신은 가서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밤낮 삼 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 나도 나의 시녀와 더불어 이렇게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하니라(에스더는 첫째 죽으면 죽으리라는 용기를 보이고 있다. 이게 바로 진정한 신앙인의 자세다. 죽으면 죽을 각오로 살지 않으면 올바르게 신앙을 가질 수 없다. 둘째, 먼저 금식하고 기도하는 중보자를 원했다. 중보자들의 기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 대목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인도 금식으로 기도한 뒤 일을 결행하려 한다. 기도는 능력이요 기도는 권능이며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력한 도구다. 기도한 후에는 인간의 법을 어기면서까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내놓겠다는 각오를 하고 있다. 기도는 기도로 끝나는 게 아니라 실천으로 끝내야 기도가 이뤄지는 법이다.)
17 모르드개가 가서 에스더가 명령한 대로 다 행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