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1 우스 땅에 욥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더라
2 그에게 아들 일곱과 딸 셋이 태어나니라
3 그의 소유물은 양이 칠천 마리요 낙타가 삼천 마리요 소가 오백 겨리요 암나귀가 오백 마리이며 종도 많이 있었으니 이 사람은 동방 사람 중에 가장 훌륭한 자라 (욥이 이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자였다.)
4 그의 아들들이 자기 생일에 각각 자기의 집에서 잔치를 베풀고 그의 누이 세 명도 청하여 함께 먹고 마시더라
5 그들이 차례대로 잔치를 끝내면 욥이 그들을 불러다가 성결하게 하되 아침에 일어나서 그들의 명수대로 번제를 드렸으니 이는 욥이 말하기를 혹시 내 아들들이 죄를 범하여 마음으로 하나님을 욕되게 하였을까 함이라 욥의 행위가 항상 이러하였더라 (욥이 아침마다 가족의 죄를 회개하는 생활을 했다. 이를 통해 성결한 삶을 누리려고 했다. 그 점은 높이 살만했으나 욥이 여기에서 한 가지를 더 해야 했다. 자기의 행위를 돌아보고 자녀들의 죄를 위해서도 기도해야 했다. 욥은 이때 교만한 점이 있었다.)
6 하루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와서 여호와 앞에 섰고 사탄도 그들 가운데에 온지라 (사탄은 욥이 자기 회개를 하지 않는 점을 예리하게 들여다 본 것 아닐까? 사탄은 늘 우리의 약점을 가장 빨리 알아채고 그 점을 파고든다.)
7 여호와께서 사탄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서 왔느냐 사탄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땅을 두루 돌아 여기저기 다녀왔나이다
8 여호와께서 사탄에게 이르시되 네가 내 종 욥을 주의하여 보았느냐 그와 같이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는 세상에 없느니라(성경 전체를 통해 하나님이 사탄과 이와같은 일상적 대화를 하는 것은 거의 없다. 이런 대화를 했던 것은 하나님이 사탄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그만큼 욥을 대견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자랑하고 싶었던 것이다. 부모가 자식 자랑을 누구에게나 하고 싶은 것과 같은 마음일 것이다.)
9 사탄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욥이 어찌 까닭 없이 하나님을 경외하리이까
10 주께서 그와 그의 집과 그의 모든 소유물을 울타리로 두르심 때문이 아니니이까 주께서 그의 손으로 하는 바를 복되게 하사 그의 소유물이 땅에 넘치게 하셨음이니이다
11 이제 주의 손을 펴서 그의 모든 소유물을 치소서 그리하시면 틀림없이 주를 향하여 욕하지 않겠나이까 (무언가를 가진 자는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부유한 자는 부유함을 지위가 있는 자나 지식이 있는 자는 또 그것을 돌아보아야 한다. 하나님께 감사하는 이유가 그것때문이라면 옳은 신앙이 아니다. 그것이 없어졌을 때도 하나님께 감사하고 엎드릴 수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12 여호와께서 사탄에게 이르시되 내가 그의 소유물을 다 네 손에 맡기노라 다만 그의 몸에는 네 손을 대지 말지니라 사탄이 곧 여호와 앞에서 물러가니라 (사탄은 욥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먼저 받은 축복 때문이라는 것이다. 시련이 오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여 욥을 시험하려 든다. 하지만 하나님은 욥을 직접 괴롭게 하지 않는다. 인간을 괴롭히는 것은 하나님이 아니라 사탄의 짓이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이 직접 욥을 시험했다는 주장을 한다. 그것은 마조히즘적 태도다. 마치 벌을 받아야만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같다. 하나님은 벌을 주고 때리는 분이 아니라 선한 길로 인도하시고 사랑을 베푸시는 분이다.)
13 하루는 욥의 자녀들이 그 맏아들의 집에서 음식을 먹으며 포도주를 마실 때에
14 사환이 욥에게 와서 아뢰되 소는 밭을 갈고 나귀는 그 곁에서 풀을 먹는데
15 스바 사람이 갑자기 이르러 그것들을 빼앗고 칼로 종들을 죽였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16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하나님의 불이 하늘에서 떨어져서 양과 종들을 살라 버렸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이 종은 사탄이 보낸 불을 하나님이 보낸 불이라고 하고 있다. 이처럼 옳지 않은 판단을 하는 사람 때문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시련이 하나님에게서 온 것인지 사탄에게서 온 것인지 본인의 욕망 때문인지를 잘 구분해야 한다. 비단 시련만이 아니다. 가령 돈을 많이 벌었으면 그것이 하나님이 준 것인지 사탄이 준 것인지 잘 구분해야 한다.)
17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갈대아 사람이 세 무리를 지어 갑자기 낙타에게 달려들어 그것을 빼앗으며 칼로 종들을 죽였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각각의 사건에 한 사람씩이 살아 남아 소식을 전하고 있다. 완전한 멸망이 아니라 이처럼 한 사람을 남기는 것은 희망의 끈이 있음을 뜻한다. 소식을 들을 수 있는 희망의 끈조차 없는 때가 가장 절망적이다. 전령조차 없는 상황이 오지 않도록 기도하자.)
18 그가 아직 말하는 동안에 또 한 사람이 와서 아뢰되 주인의 자녀들이 그들의 맏아들의 집에서 음식을 먹으며 포도주를 마시는데
19 거친 들에서 큰 바람이 와서 집 네 모퉁이를 치매 그 청년들 위에 무너지므로 그들이 죽었나이다 나만 홀로 피하였으므로 주인께 아뢰러 왔나이다 한지라 (시련이 올 때 이처럼 원인도 알 수 없는 시련이 오며 정신을 차릴 수 없을 만큼 연속적인 시련이 온다. 이것은 자칫 물질적인 현상인듯 보이나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영적인 전쟁이다. 즉 하나님과의 관계를 방해하는 사탄의 역사다. 따라서 영적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이 하나님의 축복을 회복하는 길이다. 욥은 지금까지 잘 살아왔으나 이제 영적 전쟁의 문에 들어섰다. 누구나 잘 되던 삶에서 영적 전쟁의 문으로 들어설 때가 반드시 있다. 그 전쟁에서 이기는 것, 그 문을 통과하는 것이 하나님의 나라로 가는 길이다.)
20 욥이 일어나 겉옷을 찢고 머리털을 밀고 땅에 엎드려 예배하며 (욥은 이 전령에게 화풀이를 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았다. 사랑을 베풀지 않으면서 경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욥이 종들에게나 다른 사람들에게 화풀이를 하지 않고 경배한 자세가 값진 자세다. 욥은 하나님을 경외해서도 엎드렸지만 너무나 고통이 컸기 때문에 엎어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21 이르되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사온즉 또한 알몸이 그리로 돌아가올지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거두신 이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지니이다 하고 (욥은 종이나 낙타같은 재산은 물론 자기 자식까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잃게 된다. 이것은 엄청난 시련이다. 출애굽에서 바로왕이 받았던 거의 열 개의 시련에 해당하는 것이 하루 아침에 일어난 것이다. 바로가 오죽하면 이스라엘 백성을 풀어주었겠는가? 욥이 한 방에 당한 시련이 바로의 시련 전체만큼 큰 것이었다. 이 정도 시련만으로도 보통 사람은 하나님을 원망할 것이다. 그러나 욥은 하나님을 원망하기는 커녕 가장 먼저 엎드려 예배하는 자가 되었다. 그런 다음 하나님을 찬송하고 있다. 불교나 무욕 사상에서는 공수래공수거와 같은 무욕 사상을 주장하는데 무욕 사상은 인간을 허무주의에 빠지게 한다. 그러나 기독교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긍정적인 세계로 발전하도록 하는 힘을 가진 종교다. 허무주의가 아니라 찬양하고 감사하고 앞으로 나가게 한다.)
22 이 모든 일에 욥이 범죄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향하여 원망하지 아니하니라 (나는 조금만 감정이 상해도 마음으로 행동으로 죄를 짓는다. 그런데 욥은 이 상황에서도 범죄도 않고 하나님을 원망하지도 않는다. 나를 부끄럽게 하는 욥의 모습이다.)